본문 바로가기

엑셀 강의

[꿀팁] 엑셀 조건 만족 산출 함수 =COUNTIF feat 이하 <= 미만 < 이상 >= >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=countif 함수를 사용하여 이상 이하 미만 더 큰 검색을 해보겠습니다. 1. =countif(range, criteria) 의 구성 range : 함수로 보고자 하는 지정 범위 criteria : 검색조건 2. 이상 ">=" =COUNTIF 기입 후 TAB을 누른 후 집합지 A부터 E까지 온도를 드래그 선택 콤마 , 눌러서 range를 마무리 합니다. 이후, ">=24" 를 기입합니다. (criteria에 해당) 부등호 또한 문자이기 때문에 " "를 사용합니다. 24도 이상의 집합지는 3 입니다. 상기 방법과 동일하게 하고 부등호만 위 그림의 괄호에 있는 양식처럼 다르게 기입하면 해당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. 24도를 얻으려면 당연히 "="이겠습니다. 문자.. 더보기
[꿀팁] 엑셀 함수 feat 조건 만족 셀 개수 검색 =countif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해당 조건의 셀이 몇 개 있는가 세어주는 함수 =counif를 알아보기로 해요. 1. 많은 엑셀 안에서 특정 조건에 해당되는 셀 개수를 찾을 때 =countif 함수를 씁니다. 함수의 구성 : =counif(range, criteria) range : 알아보고자 하는 지정범위 criteria : 검색 조건 2. 회사명 중에서 A는 몇 개 있는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. range는 회사명 목록을 드래그 콤마 , 를 기입하여 range를 마무리하고 criteria로 진행합니다. criteria는 "A" 이때, 검색어는 " " 안에 기입합니다. 엔터 데이터 내에서 A는 3개 있었습니다. 오늘은 간결한 내용이었습니다. 좋은 하루 보내세요. 더보기
[꿀팁] 엑셀 함수 =round feat 정수 반올림 설정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반올림 함수 =round 저번에는 소수점 설정을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두자리 세자리 숫자 단위 즉, 정수 설정을 알아보겠습니다. 상기 함수에 대해서는 아래 내용을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. namakemono.tistory.com/29 [꿀팁] 엑셀 함수 feat 반올림 설정 =round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소수점의 반올림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1. =round 함수는 반올림 및 소수점 어디서부터 반올림을 할 것인가 설정하는 함수입니다. 평균점수를 소수 namakemono.tistory.com 1. =round 함수를 기입 후 tab을 누르면 =round(num, num_digits)에서 반올림해서 보는 자릿수를 설정 가능합니다. (num_digits).. 더보기
[꿀팁] 엑셀 함수 feat 반올림 설정 =round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소수점의 반올림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1. =round 함수는 반올림 및 소수점 어디서부터 반올림을 할 것인가 설정하는 함수입니다. 평균점수를 소수점 2자리를 반올림하여서 1자리까지만 보도록 하려면 =round를 기입하고 tab을 누르면 괄호가 ( 생성됩니다. 2. 엑셀 프로그램이 어느 부위 (number)를 어느 소수점까지 (num_digits) 보고 싶은가 문의합니다. 평균점수 숫자를 클릭하면 해당 위치인 D3가 설정됩니다. 여기서, 콤마 쉼표 , 를 기입하면 소수점 1자리까지 보고자 하므로 1을 누르고 엔터를 칩니다. 56.42857의 소수 2자리는 2라서 반올림 대상이 아니니 56.4가 됩니다. 추신> 평균을 구하는 함수 =average에 대해서도 공.. 더보기
[꿀팁] 엑셀 함수 COUNTBLANK feat 공란 갯수 파악하기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공란 공백 엑셀 칸 갯수를 산출하는 함수를 공부해봅시다. =COUNTBLANK 1. 엑셀 함수 =COUNTBLANK는 해당 지정범위의 공란 갯수를 계산해줍니다. 미기입란 파악, 결석 수 파악에 도움이 됩니다. 예를 들어, 물품이 아직 도착하지 않은 집합지 갯수를 구하고 싶다면 아래처럼 함수를 입력해서 지정범위를 드래그 설정합니다. =COUNTBLANK(B3:B23 은 B열3행부터 23행까지 살펴본다는 뜻입니다. 엔터를 치면 네, 아직 12곳이 물품이 안 왔습니다. 간단합니다. 2. 이와 반대되는 함수는 =COUNT =COUNTA가 있습니다. 이는, 아래 이전 포스팅을 봐주시면 좋겠습니다. namakemono.tistory.com/25 [꿀팁] 기초 엑셀 feat 항목.. 더보기
[꿀팁] 엑셀 응용 feat 행 열 모두 선택으로 함수의 효율적인 범위지정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이전 내용에 추가하여 또 다른 효율적인 함수 범위 지정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함수는 =counta 를 토대로 설명하겠습니다. 이 함수에 대해서는 이전 내용을 봐주세요. namakemono.tistory.com/25 [꿀팁] 기초 엑셀 feat 항목 개수 유무 세기 함수 =COUNT =COUNTA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각 항목의 유무 등 개수를 확인하고 카운트하는 함수 =COUNT =COUNT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1. =COUNT 는 해당 항목에 기입된 숫자의 유무를 카운트 해주는 namakemono.tistory.com 1. 함수의 적용 범위를 지정할 때, 중간에 공란이 많고, 양이 방대하면 지정하기가 매우 수고스럽습니다. 드래그, 화살표 연.. 더보기
[꿀팁] 엑셀 응용 feat 함수와 ctrl shift 병용으로 효율적인 범위지정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함수의 적용범위를 지정할 때 병용하면 편리한 ctrl shift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지정범위가 방대할 때 효율적입니다. 1. 함수를 지정하고자 하는 범위가 방대할 때 ctrl shift 화살표를 사용하면 드래그보다 신속한 지정이 가능합니다. ctrl shift 화살표 아래를 누르면 맨 밑으로 신속 선택이 가능합니다. ctrl만 누르면 신속 이동입니다. 2. 중간에 공란이 있으면 그 전에서 지정이 멈춥니다. 이런 경우에는 ㄱ. ctrl shift 화살표를 한번 더 누르면 공란을 넘어서 다음 기입 칸으로 갑니다. 이를, 계속 사용하면 지정범위 끝까지 갈 수 있습니다. 공란을 하나하나 확인해야 하는 경우 유용한 방법입니다. ㄴ. 꿀 누르고 있으면 갈 수 있는 마지막 .. 더보기
[꿀팁] 기초 엑셀 feat 항목 개수 유무 세기 함수 =COUNT =COUNTA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각 항목의 유무 등 개수를 확인하고 카운트하는 함수 =COUNT =COUNTA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1. =COUNT 는 해당 항목에 기입된 숫자의 유무를 카운트 해주는 함수입니다. 미기입된 공란 항목이 몇 개 있나, 또는 출석부 같이 출석 여부를 확인할 때 유용하겠습니다. =COUNT 기입 후 Tab 누르면 괄호가 생깁니다. =COUNT( 엑셀 프로그램이 어디부터 어디까지 분석할 것인가 질문하는 것입니다. 해당부위를 드래그하면 =COUNT(B2:D2 가 표시됩니다. B2부터 D2까지 기입된 숫자 유무 개수를 산출해줘 하는 뜻입니다. 엔터 치면 A집합지의 3섹터 중 물품이 도착한 곳은 1, 3섹터 2곳으로 산출됩니다. =COUNT 함수의 단점은 글자를 인식하지 못.. 더보기
[꿀팁] 엑셀 단축키 효율업무 feat 숫자 콤마 넣기 안녕하세요! 나무누~보입니다. 오늘은 숫자에 콤마 넣기 알아보겠습니다. 큰 단위의 숫자는 그냥이면 파악이 어렵습니다. 이에, 1000단위가 되면 콤마 , 가 있어서 인식이 편합니다. 1,000 이렇게 이를 엑셀에도 적용하면 업무에 도움이 되겠습니다. 1. 콤마를 적용하고자 하는 항목을 드래그 선택 후 ctrl+1을 눌러서 셀 서식창을 엽니다. 2. '표시 형식' 탭에서 범주 중에서 '숫자'를 클릭하면 '1000 단위 구분 기호 사용' 이 있는데 이를 클릭합니다. 3. 보기 란에 보면 천 단위로 콤마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확인을 누릅니다. 꿀팁> 음수 란의 괄호 ( ), 빨간색 숫자 등은 음수의 경우 어떻게 표시되는가를 선택하는 것입니다. 매출이 백만 단위인 것을 파악하기가 더 좋습니다. 오.. 더보기
[꿀팁] 엑셀 단축키 함수 효율업무 feat 요일 자동 입력 표시 안녕하세요. 나무누~보입니다! 오늘은 요일이 자동검색되어 입력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ㄱㄱㄱ~! 요일이 자동으로 검색되어 입력되도록 하면 일일이 달력을 찾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습니다. 무엇보다도, 일자가 아래처럼 랜덤하게 있는 업무의 경우 큰 도움이 됩니다. 일단, 1월 1일을 클릭해보면 위에 2020-01-01 이 나옵니다. 이 날은 무슨 요일일까요? 1. '일자' 내용들을 드래그 선택해서 복사 (ctrl+c) 후에 우측 '요일' 항목에 붙여넣기 (ctrl+v) 합니다. 2. '요일' 항의 복붙된 항목들을 드래그 선택 후 ctrl+1 을 누르면 해당항목들의 셀 서식 설정 팝업이 뜹니다. '표시 형식' 탭의 '사용자 지정' 을 보면 현재 형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mm"월"dd"일" 형식이라서 0.. 더보기